SK온, 닛산에 15조 수주 잭팟 소식 전해져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대형 수주 소식은 언제나 기다릴 수밖에 없고, 하나 터져주기를 투자자 입장에서는 바랄 수밖에 없는데요
이번에 15조 규모의 대형 수주가 터졌습니다. 그것도 일본 닛산에 말이죠.
하나씩 정리해 볼게요
SK온이 대형 수주 소식을 알려와
SK온은 19일 닛산에 2028년부터 2033년까지 총 99.4 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
이는 중형급 전기차 약 100만 대에 탑재할 수 있는 물량으로, 업계에서는 15조 원 안팎의 규모로 추정
종류는?
6년간 닛산에 공급하게 될 배터리는 SK온의 주력 제품인 고성능 하이니켈 파우치셀 배터리
해당 배터리는 닛산이 미시시피주 캔톤 공장에서 생산할 신차 4종에 탑재될 예정이라고
닛산이 해당 배터리를 선택한 이유는
땅덩어리가 큰 북미 지역에서 소비자들의 중요 고려 사항이 주행거리이기 때문에 1회 충전으로 멀리 갈 수 있는 고밀도 하이니켈 배터리가 적합하다 판단
어디에서 생산?
배터리 생산은 미국 등 북미에 위치한 SK온 공장에서 진행
현재 SK온은 미국 조지아주에 연산 22GWh 규모의 자체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고객사와의 합작법인(JV)의 형태로 조지아주, 켄터키주, 테네시주 등지에 총 4개의 신규 공장을 건설 중
모두 완공되면 SK온의 미국 내 배터리 생산 능력(캐파)은 180GWh 이상을 갖추게 되는 것
이번 생산으로 닛산도 미래를 준비
지난해 닛산은 향후 3년 간 글로벌 시장에서 선보일 신차 30종 중 16종을 전기차로 생산하겠다는 계획
미국에서는 2028년부터 스포츠유틸리차량(SUV) 2종, 세단 2종 등 총 4종의 전기차를 생산하는데 해당 차량의 배터리가 SK온이 되는 것
이번 수주는 꽤 의미가 커
SK온 개별 기업 입장에서는 신용등급 강등 등에 따라 투심 및 수급이 위축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전해진 대형 수주 소식
해당 수주 규모는 SK온 연간 배터리 사용량의 약 40% 수준의 추가 수주 물량 확보한 것
SK온이 글로벌 완성차 기업에서 대규모 배터리 수주에 성공한 것도 약 2년 만으로 수주 잔고 및 금액 뿐만 아니라 기술력의 인정 등에 대한 의미가 있어
업계 전반적으로 볼 때는 엘앤에프, 삼성SDI ESS수주, 그리고 SK온의 15조 수주가 이어지며 올해 좋은 소식이 이어지고 있는 셈
특히 캐즘으로 인해 국내 배터리 기업의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중장기 성장 동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는 평
SK온은 현재
2023년 스웨덴 전기차 브랜드인 폴스타에 ‘초장폭 하이니켈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
포드와는 현재 전기픽업 F-150 라이트닝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에도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 등 다수의 전동화 모델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납품, 대표적으로 아이오닉9
리튬 역시 지난해 엑손모빌과 최대 10만 톤의 리튬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계약을 체결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과는 국내에서 생산된 고순도 수산화리튬을 3년간 최대 1만 5000톤 조달하는 장기공급계약 맺어놓은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