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올해 첫 FOMC, 파월은 결국... 트럼프는 파월 맹비난

seojdmorgan 2025. 1. 30. 09:37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2025년 첫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마감됐습니다. 

 

FOMC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나왔고, 뉴욕증시는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지금부터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간밤 뉴욕증시는 이렇게 마감했습니다.

 

- 예정된 금리 인하, 뉴욕증시 소폭 하락

- 이날 FOMC와 테슬라, 메타, MS 실적, 그리고 딥시크 후폭풍까지 상당히 많은 것들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

- 연준은 기준금리 4.25~4.50%로 예정된 동결 결정

- 연준 성명서는 매파적으로 보일 수 있었으며, 파월 의장 발언들 자체는 상당히 조심스러워

-  오히려 딥시크로 인한 변동성이 남아 있는 모습으로 엔비디아가 또 다시 하락

-  장 마감 후 실적발표에 대한 경계감도 상당한 상황

-  복합적인 경계감 속 일제히 하락 마감

 

2. 주요 기업들 주가 추이는요

 

-  애플(0.46%), 마이크로소프트(-1.09%), 엔비디아(-4.10%), 아마존(-0.45%), 메타(0.32%), 알파벳(0.06%), 테슬라(-2.26%)

-  AMD(2.79%), 퀄컴(0.09%), 브로드컴(-0.49%), 마이크론(0.86%), ASML(4.29%), TSMC(-0.03%), 오라클(-1.21%), 팔란티어(-0.59%)

-  버티브홀딩스(3.67%), 뉴스케일파워(5.01%), 퍼스트솔라(3.60%), GM(-0.52%), 포드(1.29%), 리비안(-2.28%), 루시드(-3.61%), 알버말(0.44%)

 

- 엔비디아는 트럼프 행정부가 H20 칩의 수출 금지를 검토한다는 소식에 하락

- 알파벳은 웨이모가 미국내 10개 도시에서 자율주행 테스트를 실시할 것이라는 소식에 강보합 마감

- 반도체는 ASML이 실적발표를 통해 AI에 대한 끊임 없는 투자 기대감이 있었으나 엔비디아 수출 규제 여파로 매물이 나오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0.23% 상승에 그쳐

 

3.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발표

 

1) 테슬라

-  장 마감 후 예상치 하회하는 실적 발표

-  작년 4분기 매출은 2577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0.73달러를 기록

-  매출과 EPS 모두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의 평균 예상치(매출 2726천만달러, EPS 0.76달러)에 못 미치는 수준

-  올해 말 자율주행 테스트 확대 및 상반기 저가 차량 출시 소식에 시간 외 급상승

 

2) 마이크로소프트

-  장 마감 후 예상치 웃도는 실적 발표

-  지난해 4분기(1012) 6963천만 달러(1006153억원)의 매출과 3.23달러(4667)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

-  매출은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 6878천만 달러를 웃돌았고, 주당 순이익도 예상치 3.11달러를 상회

-  매출은 1년 전보다 12% 증가했고, 순이익은 2187천만 달러에서 2411천만 달러로 10% 늘어

-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가 포함된 인텔리전트 클라우드 부문 매출은 19% 증가한 25540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시장 평균 2583000만달러에는 못미쳐

-  MS는 애저의 경우 31% 성장, 이는 전 분기 성장률 33%에 비해 낮은 수치로, 전문가 예상치 31% 수준을 밑돌아

-  MS는 애저 성장률 가운데 13%포인트는 인공지능(AI)에서 나왔다고 설명

 

3) 메타

-  장 마감 후 예상치 웃도는 수준 실적 발표

-  4분기 주당순이익은 8.02달러를 기록해 예상치인 6.77달러를 크게 뛰어넘어

-  매출액도 4839000만달러로 예상치인 4704000만달러를 뛰어 넘은 것

-  분기 일일 활성 사용자 수(DAU)가 전 분기의 329000만 명에서 증가한 335000만 명이라고 밝혀

-  2025AI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600~650억 달러의 자본 지출을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

-  2025년 총 지출이 1140~11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지출의 대부분은 인프라 비용과 관련이 있다고 전해

 

4. 미국 국고채 수익률 변동

 

-  10년물 4.532%, 30년물 4.778%, 2년물 4.222%

-  금리 동결에 단기물 위주 상승, 장기물은 하락하며 10년물 4.5% 초반까지 내려와

 

5. 253월 및 상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  318%

-  534.8%

-  647.7% 

-  상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여전히 높지 않아

 

6. 파월 정책 연설문

 

- 파월 의장은 지난해 하반기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하한 이후 연준의 통화정책은 기존보다 현저히 덜 제약적인 수준이라며 성급히 통화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

- 이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위해서는 한 두번의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좋게 나와야 되는게 아니다라며 계속되는 인플레이션을 바란다고 밝혀

- 또한 인플레이션 진전이 있다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여

- 특히, 결정문제에서 '인플레이션 2% 목표를 향한 진전' 문구가 삭제된 것을 두고 시장 일각에선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신호' 아니냐는 해석이 나와

- 이에 파월 의장은 회견에서 "그저 문장을 줄이는 선택을 한 것"이라며 과도한 해석을 경계

 

7. 기자회견 주요 내용

해당 블로그에 PDF 파일로 자세히 정리해 두었습니다. 

 

8. 결론

 매파적인 성명서에 그렇지 않아 보이는 기자회견

 

- 정치적 상황에 대한 코멘트는 최소화

- 현 노동시장 상황 및 경제 상황은 좋은 자리

- 데이터를 보며 진전을 이루는지 확인할 것

- 2% 인플레 등 이중책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

- 상당히 원론적이며 조심스러운 입장이 눈에 보여

 

9. 트럼프 대통령의 맹비난

-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 동결 이후 즉각 맹비난

 

 

 

[방문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서정덕입니다.
본 페이지는 유튜뷰채널 서정덕TV 의 방송 내용을 텍스트로 풀이해 놓은 곳입니다.
해당 유뷰트 채널은 평일 아침 6시 45분 ~ 7시 45분까지 생방송으로 진행되며, 가장 빠른 뉴욕증시와 국내 증시를 파악할 수 있는 핵심 내용으로 정리됩니다. 
유튜브에서 서정덕TV 를 검색하시거나,
https://www.youtube.com/@sjd_economy 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