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

금통위 D-2, 금리 인하? 동결?

seojdmorgan 2025. 4. 15. 11:0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이제 이틀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통화방향성에 대해 이목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데요 시장은 어떻게 예상하고 있을ᄁᆞ요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번 금통위

 

- 한국은행의 4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금융 시장이 주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당연히 나라의 통화정책 기조와 방향이 발표되는 날이다보니 매번 관심은 뜨거운데요 최근에는 금리 방향에 따라 시장에 대한 대응 등이 달라질 수 있다보니 더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아요

- 각 매체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해보면 약 90% 정도는 금리 동결을 보고 있다고 해요

- 지금 경기 상황 보면 금리 인하 해야되거든요

 

그런데 왜 동결 전망이 강한걸까요

- 트럼프 상호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와 소비 부진에 경기 하강 우려가 어느 때보다 높다는 점에서 금리 인하 필요성은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 하지만 당장 4월에 금리를 낮추기에는 미국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환율 변동성이 너무 크다는 점이 지목됩니다

- 최근 원·달러가 급락해 1430원대 내외로 내려왔지만, 미국 관세 이슈에 하루 30원도 넘게 등락이 이어지다보니 원화 강세 기조를 예단하기 이르다는겁니다.

 

그렇다면 언제 인하를 예상할까

- NH투자증권은 4월 금통위서 만장일치 동결을 전망했습니다

- 이어 관세 전쟁이라는 특수성 하에서 환율 급변동이 진행되고 있다 밝혔고, 한은은 환율 변동성 완화 시기인 58월에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겠냐고 전망했습니다.

- 그리고 강남권 토지거래허가 해제와 확대 재지정에 따른 집값과 가계부채 추이도 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 우리나라 금리 결정은 경기만 보고 하는건 아니잖아요. 부동산을 함께 보다보니 당연한 이유인데

- 한은은 2월 토허제 해제 영향이 2분기 집중 반영될 것이라고 본 상황이고요 고환율에 물가가 슬금슬금 오르는 점도 금리 인하 부담 요소다보니 일단 이번에는 스톱하고 5월 정도에 미국 금리 인하 정도를 보면서 움직이지 않겠냐는 겁니다

- 저도 이번엔 동결, 5월에 미국 상황 보면서 미국이 56월 안에 금리 인하 기조가 강해지면 인하를 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