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우리만 급락한게 아니었네? 일본 대만도 급락, 아시아 증시 왜 이럴까

seojdmorgan 2025. 2. 4. 08:30
반응형

 

23() 국내 증시가 급락을 했습니다. 이른바 블랙먼데이를 기록한건데요

 

2월 첫 거래일부터 국내 증시가 급락빔을 맞고 투자자들의 전의를 상실시킨 상황이죠

 

그런데? 우리만 이런게 아니라 아시아 증시가 급락이 나왔더라고요.

그래서, 하나하나 자세히 체크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이날 코스피 하락 종목은 2226개로 전체의 81% 수준이었고, 삼성전자의 외국인 비중은 12개월 만에 50%가 무너지며 49.99%를 기록했는데요

 

대다수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딥시크 이슈가 가시지 않은 상황 속 추가 관세 부과 우려에 반도체 업종 낙폭 컸고 멕시코와 캐나다에 공급망을 구축해 놓은 2차전지 업종도 된서리를 맞고 급락한거죠.

 

그런데, 유독 우리나라만 이렇게 하락한 것은 아니었는데?

 

일본 닛케이 지수는 2.81% 하락했고 대만 자취안 지수는 3.53% 급락했어요.

이거 왜 그런 것일까요?

 

기승전 트럼프죠.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관세 부과 대상으로 EU를 지목한 가운데, 결국 대미 무역 흑자 규모가 큰 아시아 국가들도 사정권에 들어왔다는 불안감이 커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베트남 대한민국 대만 일본 등은 대표적인 대미 무역 흑자 국가입니다.

대미무역 수출 상위 8개 나라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캐나다(3324억달러) > 멕시코(3094억달러) > 중국(1310억달러) > 일본(732억달러) > 독일(703억달러) > 대한민국(603억달러) > 대만(387억달러) > 베트남(117억달러)

이 가운데 대미 무역 흑자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베트남으로 중국 멕시코에 이어 3

이 외에 대만 > 일본 > 대한민국 순서

캐나다와 멕시코 등 우방국과 EU에도 거침없이 관세 부과를 이야기 하는 것 등을 볼 때 아시아 국가들 역시 크게 다를 것 없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진 셈인데요

,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국 경쟁국 가리지 않고 보편관세를 부과 방침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는 겁니다

그리고 일어나지 않은 일이지만, 이러한 관세 정책은 물가 상승 야기 경기 둔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는 셈이죠

 

참고로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관세 전쟁 본격화에 코스피는 2600 1996까지 하락한 바 있습니다

 

다만, 한 번 겪어본 바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협상용 카드로 적극 이용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는 만큼 무차별적인 불안에 따른 패닉셀을 가져가기 보다는 불확실성 속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들도 있는 만큼 트럼프 행정부 초반 움직임에 항시 귀를 기울여야겠네요.

회사 다니랴 투자하랴 뉴스보랴... 참 어렵습니다.

모두들 힘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