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

매일 오르는 금값 이거 모르고 투자하면 안됩니다

seojdmorgan 2025. 4. 23. 11:0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최근 금값이 거침없이 고점을 뚫고 또 뚫고 있습니다.

자고 일어나면 금값이 금값이라는 이야기가 들리는데요

그러다보니 금을 지금이라도 투자 해야 할까 하는 고민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 이건 꼭 알고 투자해야 하는데요 정말 중요하거든요 함께 보시죠

 

 

최근 금값은 거침없는 상승세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강도 관세 정책과 연준에 대한 금리인하 압박 격화 등으로 인한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 이미 온스당 340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 경신을 연일 이어가고 있는 모습

- 이 같은 움직임은 국내에서도 나타나고 있어

-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KRX 금시장에서 1kg짜리 금 현물의 1g당 가격은 전장(152260)보다 1.68%(2560) 오른 154820원으로 거래 마감

- 금값은 이달 들어 3.91% 상승했으며 지난 한 주(15~21) 동안에만 4.33% 급등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도 금 관련 종목 전반적 상승

 

- 국내 유일 금 현물 ETF인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KRX금현물은 최근 일주일간 4.37% 상승

-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H)’(9.18%)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골드선물(H)’(4.62%)

- 삼성자산운용 ‘KODEX 골드선물(H)’(4.60%)

- 신한자산운용 ‘SOL 골드커버드콜액티브’(3.97%)

- TIGER 금은선물(1.98%) 등 대다수가 강세

 

수급은 엇갈려

 

-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은 매수세에 나섰지만, 개인투자자들은 차익 실현 움직임을 보여

- KRX 금시장에서 기관은 이 기간 196억원어치를 사들였지만, 개인은 33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귀금속 사업자인 자기매매회원도 169억원을 순매도

- 시장에서는 금값의 고공행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

- 골드만삭스는 올해 말까지 금 현물 가격이 온스당 3700달러까지 상승하고 내년 상반기(16)에는 4000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 하지만, 지금 이 상황에서 개인투자자들은 많이 오른 금에 투자하기가 심리적으로 쉽지 않을 수 있어

- 향후 더 오를지 혹은 내릴지는 장담할 수 없지만 금 투자를 할 땐 이걸 알아둬야

 

현물 투자는 지양

 

- 현물은 살 때 가격 팔 때 가격 차이가 워낙 크다보니 개인들이 매수 매도시 의외의 손실이 발생 할 수 있어

- 그러다보니 ETF 투자를 하는 것이 가장 나은 방법인데

- 이 때도, 가장 중요한 이것을 기억해야

 

(H)를 기억하세요

 

- 환헤지 여부에 따라 수익률이 갈릴 수 있기 때문에 시기에 맞춤형 상품 선택이 중요

- 쉽게 말해 테슬라를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일 때 100달러로 매입을 했다면 현 환율 1420원에 대한 환차익과 100달러에서 230달러 이상으로 오른 수익까지 동시에 나는 것

- 반대로 환율이 1480원일 때 사서 1420원일 때 판다면 환차손이 날 수 있기 때문에 환노출형을 매수할 때는 환율을 잘 봐야 하고, 환율 흐름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셈

- ETF를 투자할 때는 (H)가 있고 없고 차이를 투자할 때 반드시 봐야 하며, 환차익까지 기대할 생각으로 투자를 한다면 환노출형으로, 머리아프거나 향후 환율이 내려갈 것으로 생각한다면 환헤지형(H)로 투자하면 되는 것

 

현재 강달러 기조가 약해진 상황

 

- 달러인덱스가 100 이하로 하락

- 트럼프 행정부 기조상 강달러 보다는 향후 약달러 기조를 가져가며 무역 이득을 보려 할 것이라는 전략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

- 이미 주요국 환율은 달러 대비 강세로 흘러 가고 있는 상황

 

판단은 각자

 

- 잠시 약해졌지만, 향후 강달러가 꾸준히 이어진다? 그렇다면 환노출형

- 원화가 강세로 가면서 환차익을 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환 헷지형 (H)

- 통상 달러화 가치와 금값은 반대로 움직이는 게 정석이며 최근 이러한 현상이 다시금 나타나고 있는 것(얼마 전까지는 달러가치 상승+금가격 상승)

- 금은 인플레이션을 헤지하는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금리가 낮아 달러화 가치가 하락할 때 상승하고, 금리가 오르면 달러화 가치가 상승하면 금값은 떨어지는 게 일반적

- 이같은 역의 상관관계 때문에 금값 상승기에는 환헤지형 ETF가 더 오르고, 금값 하락기에는 환노출형 ETF가 덜 떨어지는 게 보통

- 향후 달러가 더 이상 강하게 못간다고 판단되는데 금값이 상승할 것이라 판단한다면 (H)가 붙은 환헤지 형으로 투자하면 되는 것이며 아니라면 노출형으로 투자하면 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