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삼성전자 히든카드 그 이름은 CXL!! 그런데 SK하이닉스도?

seojdmorgan 2025. 2. 18. 08: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최근에 CXL이 제2HBM으로 주목받기 시작합니다.

2HBM으로 나온 것들이 꽤 많아요. 이 가운데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메모리로 거론되는게 CXL인데요, 과연 어떤 것인지 자세히 살펴 볼게요

 

최근 CXL이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

 

CXLHBM이 한창 뜨기 시작할 때부터 언급됐지만 본격적으로 관심을 받는 것은 한참 뒤인 최근에서야

- 이는 최근 CXL 메모리 양산 본격화 되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 반도체 기업들의 넥스트 HBM’으로 꼽히는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메모리 양산 돌입했다고

- SK하이닉스는 당장 다음달 말 양산에 돌입하고, 삼성전자는 전파인증 절차를 거치며 양산 준비를 사실상 마무리

 

구체적인 상황은?

 

-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말부터 CMM-DDR5 양산에 돌입

- CMM-DDR5SK하이닉스가 만든 CXL 기반 D램으로 이는 SK하이닉스의 메인 CXL 메모리이며, DDR5를 탑재한 기본 제품

- 현재 SK하이닉스는 이 제품의 고객사 인증을 진행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인텔, AMD 같은 중앙처리장치(CPU)와 협력해 최종적으로는 데이터센터 기업들에 제품을 공급할 계획

- 인증 진행 중인 고객사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빅테크인 것으로 추정

- 삼성전자 역시 CXL 메모리 양산 준비 마쳐

- 삼성전자가 신청한 CXL 기반 DCMM-D의 적합성평가를 거쳐 적합등록을 지난 10일 이미 완료

- 이는 유통이 임박한 것으로 업계에서는 해석

 

그런데 XL이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CXL은 데이터 연산에 필요한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메모리 반도체를 한 몸처럼 통합해 데이터 처리 속도와 용량을 크게 높여주는 기술

HBM의 대항마로 꼽히는 CXL이 시장에서 거론되기 시작할 것이라 지난해 짚어 드린 바 있는데 가시화 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현재 CXL 기반 D램 기술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이 중론

- 2021년 세계 최초로 CXL 기반 D램 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업계 최초 고용량 512GB 제품 개발(2022), 업계 최초 CXL 2.0 제품 개발(지난해) 등 관련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음

 

삼전의 개발속도는 얼마나 빠르기에?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자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기업용 리눅스 1위 기업 레드햇과 CXL 메모리 동작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

삼성전자의 CXL 기반 메모리가 컴퓨터 운영체제인 리눅스에서 잘 작동했다는 뜻으로 데이터센터 고객사들이 별도 S/W 변경 없이 삼성 제품 그대로 이용 가능하게 됐다는 것에 의의

 

CXL D램을 통해 서버 메모리 용량을 8~20배 이상 늘릴 수 있고, 수십테라바이트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된 것

20235월 최초 CXL을 선보인 이후 전략적으로 신제품 내놓고 있어

그리고 최근 삼성전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반도체 학회 '멤콘'(Memcon)에서 CXL 기술 기반의 D램인 CMM-D, 낸드플래시와 D램을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형 CMM-H CXL 신제품들을 선보여

리눅스 사례로 언급된 지난해 말 CXL 메모리의 동작 검증(읽기, 쓰기 등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는지 시험하는 것)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었는데,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제품군까지 공개한 것으로 이는 시장 선점 위한 노림수

신기술 CXL은 선점하여 HBM으로 고전한 얼마 전과 같은 일은 만들지 않겠다는 것

 

그렇다면 CXLHBM과의 차이는?

 

HBM은 빌딩을 쌓아 올린 구조 VS CXL은 메모리 반도체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HBM은 고대역을 기반으로 한 속도가 강점

CXL은 속도는 그리 빠르지 않아

다만, CXL은 여러 대의 서버가 메모리를 공유하는 구조 서버 구조를 바꾸지 않고 메모리 용량 확장 가능

그래서 가격적으로 저렴할 수 있어

 

HBMCXL로 인해 멸망한다?

 

그럴 리가, 대체품의 개념보다는 협업개념

GPU 근처에서 HBM이 메모리 역할+CPU 보조하는 대형 메모리는 CXL

삼성전자의 HBM 점유율 확대 및 CXL을 통한 부가가치 확보는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라고

- 시장조사기관 욜 인텔리전스는 오는 20301,000억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메모리 시장에서 CXL 메모리가 200억달러(27조원)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이라고

- 해당 산업도 본격적 움직임이 나오고 있는 것을 파악하며 최상위 2개 기업 삼전 SK하이닉스 뿐만 아니라 밸류체인 기업들 주목해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