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뉴욕증시, ‘딥시크 쇼크’ 쇼크 딛고 일제히 반등 … 엔비디아 9%↑

seojdmorgan 2025. 1. 29. 09:46
반응형

 
[방문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서정덕입니다.
본 페이지는 유튜뷰채널 서정덕TV 의 방송 내용을 텍스트로 풀이해 놓은 곳입니다.
해당 유뷰트 채널은 평일 아침 6시 45분 ~ 7시 45분까지 생방송으로 진행되며, 가장 빠른 뉴욕증시와 국내 증시를 파악할 수 있는 핵심 내용으로 정리됩니다. 
유튜브에서 서정덕TV 를 검색하시거나,
https://www.youtube.com/@sjd_economy 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일 급락했던 뉴욕증시가 일제히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다행이죠. 특히 급락했던 AI관련주들이 일제히 반등하면서 나스닥의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다우존스: +0.31%
S&P 500: +0.92%
나스닥: +2.03%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금일 뉴욕 증시는 월요일 딥시크 여파로 인한 급락이 나온 후 AI에 대한 회의론에서 벗어나 긍정기류가 나오며 반등에 성공해 상승 마감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잠깐 전일 증시를 복기해 보자면
 
전일 미 증시는 중국 딥시크의 AI 챗봇 앱이 미국 앱스토어 다운로드 1위에 오르는 등 위협을 줄 수 있다는 분석에 일제히 폭락한 바 있죠.
딥시크의 AI 모델은 오픈AI 등 미 기업들의 AI 모델에 근접한 성능을 갖췄지만, 개발 비용이 훨씬 적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받은겁니다.
특히 딥시크가 AI 모델 개발에 투입한 비용이 557만6천달러(우리돈 약 78억8000만원)에 불과하다고 밝히며 그동안 미국 기업들이 사용한 비용에 대한 ‘무용론’이 일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이날 과대 낙폭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에 월가의 낙관론이 이어지며 기술주 위주의 반등세가 나타난겁니다.
 
구체적으로는 미 경제매체 CNBC 등에 따르면 월가에서는 이날 대체로 AI 산업의 전망을 장기적으로 낙관하면서 엔비디아에 대한 투자 등급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166달러에서 152달러로 낮추면서도 '비중확대' 등급은 유지했고요.
엔비디아(8.93%), AMD(-0.73%), 퀄컴(0.22%), 브로드컴(2.59%), 마이크론(-3.14%), ASML(-0.99%), TSMC(5.25%) 등 AI 관련주가 반등했고
 
애플(3.65%), MSFT(2.91%), 아마존(1.16%), 메타(2.19%), 테슬라(0.24%), 알파벳(1.70%) 등 빅테크 기업들의 반등도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종목별 이슈를 체크해 보자면
 
엔비디아: AI와 PC 칩에서 AMD의 마켓을 겨냥하고 있다는 보고서와 AI에 대한 투자는 계속 된다는 긍정론이 나오자 장중 2%하락 후 +8.93%로 마감
 
애플: 지난해 4분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는 IDC의 보고서와 딥시크의 다운로드 급증으로 인한 수혜가 있을 것이라는 소식이 나오자 3.65% 상승
 
마이크로소프트: 트럼프 대통령이 ‘MSFT'가 틱톡 인수 협상중이라고 밝히자 2.91% 올라
 
메타: 시티, 로젠블랫, 제프리스가 딥시크 출시 이후 메타의 언어모델 Llama에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하자 2.19% 상승
 
아마존: 아마존은 AWS 클라우드 서비스용 자체 AI 칩 출하량이 2025년에 70%이상 증가해 효율화를 추구할 것이라는 분석과 제프 베조스가 투자한 로봇 학습 스타트업 Skild AI에 소프트뱅크가 투자할 것이라는 소식
 
TSMC: 트럼프가 대만에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소식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 상승의 영향으로 5.25% 상승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엔비디아 상승에도 불구하고 모건스탠리의 목표주가 하향이 부각되며 3.14% 하락
 
AMD: 엔비디아가 칩 공급 영역을 PC까지도 확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마당에 노트북을 겨냥해 출시하기로 한 신형칩을 데스크탑에만 출시한다는 소식에 0.73% 하락
 
테슬라: 중국에서 FSD 테스트 루머로 실적 발표에 대한 관망심리와 기존에 물의를 일으켰던 나치 퍼포먼스 이슈로 폴란드에서 보이콧 등의 소식에 0.24% 제한적 상승
 
GM: 견조한 실적과 함께 2025년 EPS가 지난해 10.60달러 → 약 11.50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책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 가정했다는 소식에 관세 우려가 확대 되며 급락했고 포드 역시 하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