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한 일주일 시원하게 쉬고 출근을 하려고 하니... 몸이 천근 만근이고 계속 쉬고 싶습니다.
계속 쉬면 좋지만, 가정은 누가 책임지나 싶은 생각이 문득 들며 정신을 바짝 차리게 됩니다 ㅜㅜ
어쨌거나 우리가 일주일 쉬는 사이 글로벌 증시에 어떤 일들이 있었나 간략시 시계열로 정리가 필요해요.
왜냐면요?
서정덕TV를 꾸준히 조금씩만 보셨다면 그래도 글로벌 증시 흐름이나 투자에 대해 입력이 반 강제로 되었겠지만, 꼴도 봬기 싫어 증시쪽 경제쪽을 안보셨다면 갑자기 벌어진 이 일들이 머리아플 수 있거든요
그래서!
이렇게 친절하게 정리를 주욱 해보았습니다.
해당 내용을 편안히 읽어 보시면서 정리해 보시면 좋겠죠?
우선 뉴욕증시에서는 딥시크發 급락과 반등과 여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딥시크가 계속 이슈가 되는 이유는 뭘까요? 아주 간단합니다.
그동안 AI 산업은 돈먹는 하마라는 인식 → 딥시크 600만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단 2개월 만에 H800으로 고성능 AI 모델 구현 → AI 과잉투자라는 것에 직격탄을 날린 셈
의구심도 상당한 상황
거대 언어 DATA 수집을 중국 공산당에서 용인하고 밀어줬거나, H800이 아닌 밀수나 우회경로를 통해 H100을 이용했거나, 기존학습을 재학습하는데 들어간 시간과 비용이 560만 달러에 2개월일 수도? 비용이 축소된 것 아닐까? 등등
그리고 딥시크 뿐만 아니라 알리바바도 AI 대전에 참전합니다.
알리바바 Q1 2.5 MAX 모델은 딥시크의 대표 모델 v3를 능가한다고 강조
알리바바의 주장에 따르면, q1 2.5 맥스 모델의 사전 훈련 데이터는 20조 개의 토큰을 넘는다고
여기에 틱톡 개발사 바이트댄스 역시 AI모델을 개발했다고 하는 상황
결국 하나 둘 중국발 저가형 AI가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있어
미국에서 선도하는 시장이 열리면, 중국은 가성비 모델을 빠르게 출시하여 시장을 따라잡고 있으며 첨단산업 전분야에서 비슷한 모습이 나오고 있어
결국, 중국 AI의 기술력 상징으로 대두되는 딥시크를 필두로 중국 AI가 지속적으로 자기자랑을 할 확률이 높아진 상황
당연히 중국 AI에 대한 의문은 곳곳에서 이어지겠죠?
- 머스크 등 딥시크에 의문 제기
머스크는 2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딥시크가 발표한 것보다 비싼 엔비디아의 최신 칩 'H100'을 대량 보유하고 있다는 내용의 글을 공유
미국의 수출 통제 속 H100 등 첨단 칩을 싱가포르를 통해 구입한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그리고 미국의 제재는 당연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딥시크가 오픈 AI 데이터를 무단으로 가져왔는지를 조사 중으로 알려져
지난해 가을 이미 MS 보안 요원들이 딥시 관련 인물이 오픈 AI API를 사용하여 대규모 데이터를 유출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하고 있으며
미국 해군은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 취해
엔비디아의 H80 등 저사양 칩까지 수출 금지 등 중국 제재 강화 움직임도
이와 별도로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도 있었어요
FOMC는 예정된 금리 동결, 향후 금리 인하 의지를 크게 보이지 않은 것 등은 다소간에 매파적으로 시장에서 읽혀질 수 있어 다소간에 경계감으로 나타날 수 있어
매파적 성명서 속 뻔하면서도 비둘기스러운 파월의 기자회견
- 현 노동시장 상황 및 경제 상황은 좋은 자리, 데이터를 보며 진전을 이루는지 확인할 것
- 2% 인플레 등 이중책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
인플레이션의 우려는 다소간에 경계할만 하면서도 트럼프와 각을 세우지 않으려는 모습도 확인
트럼프 대통령과 금리 인하 사전 연락 및 조율 없었다, 관세 등 행정부 정책과 관련된 내용은 코멘트 하지 않는다 밝히는 등
결국 파월 의장의 답변처럼 향후 실시간으로 발표되는 DATA가 중요할 것
한 두 번의 DATA가 아닌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DATA가 중요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인플레 문제를 막는데 실패했다며 즉각 맹 비난하기도
향후 트럼프 행정부와 연준간의 갈등 불거질 수 있을지도
빅테크 실적도 이어졌거든요?
테슬라: 예상치 하회하는 실적, 하지만 어니콜에서 저가 차량 출시 및 자율주행, 로보택시 관련 소식 등에 분위기 반전
마이크로소프트: 예상치 웃도는 실적, 하지만, AI 관련 매출이 예상치 밑돌며 실망
메타: 예상치 웃도는 실적에 AI 투자 650억 달러 밝혀
결론적으로 보자면요
딥시크發 파급력은 첫 날 대비 상당히 약해져
미장 관련해서는 신규 매수자 관점에서는 지난해부터 전해드린대로 1, 2월 급하게 매수하기 보다 분할 매수 관점으로 조정시 여유있게 보는 전략
국내 증시는 딥시크 영향권에 놓이긴 할 것
한 번에 밀린 대금을 청산하는 금요일 증시이기 때문인데,
AI 투자가 많았고 그간 수혜를 본 업종과 기업이 연휴가 끝난 뒤 일정 구간에서 타격을 받을 확률도 여전히 존재, 다만 첫 날 급락 이후 즉시 개장한 것보다는 훨씬 나을 것
AI 기대감 및 직접 수혜에 오른 반도체 원전 전력 등의 기업들의 단기 충격은 감안해야
지수 역시 해당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큰 만큼 조정도 염두해 둘 수밖에
반대로 AI 투자가 적었는데 앞으로 늘리려고 했던 기업 등은 상승할 수 있어
순환매 차원에서 그간 기대감은 있지만 소외받았던 / 낙폭이 과했던 곳들은 수급이 옮길 수 있어(미장도 별 이유 없이 순환매로 오른 종목들이 있었던 상황)
요로코롬 보시면 됩니다. 참 쉽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