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삼성SDI가 BMW의 46배터리를 한국에서 만든다고 합니다.
왜 한국에서 만들게 된 것인지, 과정을 살펴보고 추론을 해보도록 할 예정인데요
해당 콘텐츠에는 블로그 주인의 개인적 사견과 추론 등 뇌피셜이 포함되어 있으니 감안하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삼성SDI 46파이 국내 생산 소식
얼마 전 46파이 배터리 천안 마더라인 생산 → 베트남 법인 모듈 조립해 마이크로모빌리티용 미국 고객사에 인도했다는 소식 전해진 바 있어요
그리고 이번에는 차량용 생산 계획 소식이 전해진 것인데
- 삼성SDI는 천안사업장에 전기차용으로 사용할 지름 46㎜, 높이 95㎜(4695) 규격의 원통형 배터리 생산을 계획
- 4680보다 높이가 조금 더 큰 제품으로 하반기 구체적 일정이 나올 것이라고
중요한 것은
- 생산라인 변화인데 기존 라인의 분당 생산속도(PPM)가 20PPM이라면, 전기차용 4695는 150PPM으로 세 배 가량 생산성 높였다고
- 이는 생산속도 한계를 높이기 위한 조치
- 무엇보다 삼성SDI 46파이는 탭리스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인터배터리에서 소개됐던 내용
탭리스 배터리는 전원 공급 장치와 배터리를 연결하는 '탭'을 제거한 배터리로 탭은 에너지 이동 통로
테슬라의 4680 배터리가 이 방식으로 만들어진고 알려져 있어
- 전극 끝부분을 여러 개의 탭으로 만들어 전류의 경로를 확장시키는 '탭리스(Tabless)' 기술 적용을 이미 선보인 바 있어
왜 국내 사업장에서 만들게 되었을까
- 고객, 즉 BMW의 요청으로 알려지고 있어
- 초기 생산 위험과 불량률 낮추기 위해 천안사업장에서 4695 배터리를 2년여 동안 가동해 BMW에 공급하는 방안을 고려
- 이후 헝가리 공장으로 라인 옮기는 방향으로 전해지는데
- 이 때 발생하는 생산 공백은 4680라인 개조 및 말레이시아 공장 활용 등의 대안이 거론
- 라인이 옮겨질 헝가리 괴드 공장은 4695 배터리가 생산될텐데, 현재 2공장 후속 투자 진행중으로 2공장을 확장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고
조금 더 생각해 보면
- 고객의 요청에 의해 초기 생산 위험을 줄여야 한다?
- 이것은 높은 수율로 고객사에 생각보다 빠른 시일내로 제공해야 하는 물량이 발생한 것이 아닐까 하는 뇌피셜을 굴려볼 수 있어
- 그리고, 밀어내기 방식으로 공장 가동률을 높이며 OEM 사에 대한 주문 물량에 대응하려는 것 아닌가 하는 합리적 의심이 드는 모습
- 얼마 전 유상증자를 통한 2조원에 가까운 자금 조달 계획을 밝혔는데 당시 조달하는 자금을 미국 제너럴모터스 합작법인 투자와 유럽 헝가리 공장 생산능력 확대, 국내 전고체 배터리 라인 시설투자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해
- 조금 더 추측을 해보자면 해당 배터리가 노이어 클라쎄 모델로 납품되는 것이 아닌가 싶은 것
BMW iX3 첫 번째 노이어 클라쎄 모델 확정
- 올리버 집세 BMW CEO는 iX3가 노이어 클라쎄 최초의 양산 모델이 될 것이라며 9월 초 뮌헨에서 열리는 IAA 모빌리티에서 공개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어
- 또 향후 2년간 40개 이상의 신차 및 부분 변경 모델을 선보일 계획도 밝혀
- 2020년부터 순수 전기 X 모델의 성공을 이어갈 것이라 밝혔는데
- 추측의 영역이지만, 호옥시 얼마 남지 않은 노이어 클라쎄 최초 모델에 대한 수요와 향후 신차들이 쏟아지는 부분에 대한 수요를 맞추기 위한 물량 확보 부분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
이미 수산화리튬 공급은 마친 상황
- 지난해 6월 삼성SDI는 에코프로이노베이션으로부터 총 15만4000톤 규모의 수산화리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해 놓은 상황
-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오는 2033년까지 삼성SDI 국내 사업장과 헝가리 공장 등에 수산화리튬을 납품하며 구체적 계약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던 모습
-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역시 “헝가리” 공장 건설 중으로 알려지며 글로벌 생산 능력도 2028년 기준 7.9만톤까지 늘리려는 상황
결론적으로
- 확실한 것은 삼성SDI가 BMW에 46파이 납품 대응을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상황
- 생산라인 변화와 밀어내기, 유상증자도 단행하여 움직이는 것을 보면 업계의 특성상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이미 맞춰야 하는 물량이 있을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유추해 볼 수 있어
- 뇌피셜을 보태면 새롭게 출시되는 노이어 클라쎄에 대한 향후 대응을 삼성SDI가 큰 비중으로 하게 될 수 있고, 시일이 가깝다 보니 수율을 맞추고 안정적 납기를 국내에서 맞추고 시작하는 것이 아닐까 라는 것이며
- 해당 물량 공급은 수산화리튬 확보부터 전반적인 준비는 어느정도 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보고 있고 그에 대한 움직임이 아닐까? 라는 것
'국내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이런 사기가... 주의 필요합니다 (1) | 2025.04.21 |
---|---|
4월 21일 월요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금지 종목은? (1) | 2025.04.20 |
이번 태양광 상승에서 꼭 알아야 하는 이것 (2) | 2025.04.18 |
예상대로 한국은행, 금리 2.75%로 동결 (1) | 2025.04.18 |
4월 18일 금요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금지 종목은? (1)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