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

외국인 한국 주식 계속 팔고 채권만 산다던데?

seojdmorgan 2025. 5. 1. 13:0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대한민국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은 매도만 하고 있습니다.

어제도 매도했거든요.

그런데 채권은 꾸준히 사고있다고 합니다.

이건 어떤 의미일까요?

 

채권시장과 주식시장 희비 엇갈리고 있어

 

- 지난 18일 외국인 국채 현물 보유잔고는 2762019억원으로 3월 말(2686313)보다 2.05% 증가하며 역대 최고 규모를 기록

- 반면, 주식현물 잔액은 2023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

- 외국인 주식현물 보유액은 지난달 말 6936389억원에서 이달 186785392억원으로 쪼그라들었는데 이는 202310월 말 이후 가장 낮은 기록

 

외국인 채권 보유 비중도 급증

 

- 보유 비중으로 살펴봐도 외국인 채권 현물 보유 규모는 사상 최대다. 이달 외국인 채권 현물 보유 비중은 10.5%,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1월 말 10%에서 0.4%p 증가

- 국채 선물 매수액도 급증세

- 이달 23일까지 외국인은 국채 선물 3년과 10년 만기 국채 선물을 각각 18137억원, 88988억원 매수

- 전체 107125억원 규모를 사들인 셈인데, 지난달에는 각각 25674억원, 42851억원 팔아치웠지만 이달 들어 순매수세로 전환한 것

- 국채 금리가 4개월만에 매도에서 매수로 전환하며 정 반대 양상을 보이고 있는 셈

 

왜 이들은 갑자기 포지션을 바꾼 것일까

 

- 미국채 가격 약화와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반영된 영향으로 분석

-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으로 인해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며 안전자산 수요가 급증한 것이 국내 채권시장에도 영향을 준 것

- 특히 트럼프 행정부와 연방준비제도의 갈등이 심화된다는 보도가 이어지며 미국 달러 위상이 낮아진 것

- 그 결과 금리는 오르고 달러가치 하락하는 이례적 현상 발생

 

상대적 저평가 자산을 찾는 시장

 

-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원화와 안정적인 한국 국채의 투자 매력이 부각

- 한국은행의 금리 추가 인하 움직임도 투자 매력도를 높이는 요인

- 4월은 금리 동결했지만 향후 금리 인하가 3차례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되고 있어

- 유럽 중국 금리는 제자리 찾은 가운데, 가장 뚜렷하게 하락 안정세를 유지한 것은 한국 금리

- 가격적 메리트도 있다보니 돈이 몰리고 있다는 것

 

이는 한 마디로

 

- 주식시장에 대해서는 아직 확신이 없다는 것

- 그렇기에 일부 업종은 매수하지만 전반적 매도

- 하지만 대한민국 채권은 저평가라는 인식

- 쌀 때 채권을 산 뒤, 주식은 좀 더 두고보자는 것

- 채권시장에서 자금이 빠져 나올 때는 주식시장으로 돈이 들어올 확률이 높아

- 수급 변화가 뚜렷한 시점에 유동성 공급도 더 활발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자금 이동환경도 체크해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