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일(2일) 새해 첫 거래일 코스닥은 1% 이상 상승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스닥 시총 상위 2차전지 관련주 및 코스피 포진되어 있는 2차전지 관련주들의 하락이 두드러졌는데요, 이날 출고된 언론사 기사들 역시 신저가를 기록했다는 기사인데, 왜 신저가에 갔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는 상황이죠.
이 이야기는 딱히 이유는 찾을 수 없는데 주가는 신저가에 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이를 수급적 이유에서 보자면 파생쪽 코스피200 방향을 하방 혹은 지금 자리 정도로 잡아두는 것으로 외국인이 방향을 잡고 움직이는 것이라는 의심도 되는 상황이거든요
만만한 대형주를 눌러야 하는데 여러번 경험한 바와 같이 2차전지 관련주 누르면 되는 셈이고 그 과정에서 함께 동 섹터 종목들의 매도가 거칠게 나올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코스피 상장사 10곳 중 3곳 실적 전망치 추가 하향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아마도 이 기사와 연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
- 증권가에서 코스피 상장사 10곳 중 3곳의 실적 전망치를 추가로 하향 조정
- 그리고 하향된 3곳의 업종 대다수가 2차전지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업종별로 이차전지 관련주 실적 전망치 하향이 두드러져
- 목표가가 가장 크게 내린 종목은 SK이노베이션(-57.57%)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94% 역성장한 지난해 4·4분기 영업이익 146억원을 전망
- 이어 이차전지 관련주인 포스코퓨처엠(-42.40%), LG화학(-35.83%), TKG휴켐스(-34.62%) 등도 한 달 새 영업이익 전망치 낙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전해져
- 이외에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가 이어지며 한국자산신탁(-51.21%) 영업이익 전망치도 크게 내렸고, 티웨이항공(-34.05%)과 애경산업(-27.70%)은 각각 경영권 분쟁과 불매 운동에 휘말리며 단기적 불확실성이 확대돼 하향 조정
증권사의 목표주가가 언제부터 신뢰성이 있었냐 할 수 있겠지만, 최근 변동성 강한 하락장 속 하락 핑곗거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거든요.
신저가 부근까지 이런 저런 이유로 하락한 상황 속에 지금의 추가 하락이 맞나 싶긴 하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논리가 있고 없고를 떠나 목표주가 대폭 하향 조정이 핑계가 될 수 있고, 해당 핑계를 통해 추가 하락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1가지 더 추가 핑곗거리가 있었는데, 서정덕TV 뉴욕증시 마감 시황에서 전해드렸던 배런스 관련 내용입니다.
- 지난 12월 31일(현지시간) 배런스 칼럼은, 보조금 제도가 없어질 경우 사실상 EV 구매가격이 그만큼 상승해 판매가 급감할 수 있다며 보조금 폐지후 EV 판매가 급감한 독일 사례를 언급한 것
- 독일 EV 보조금이 사라지며 EV 가격이 상승했고, 이에 EV 구매가 26% 가량 감소
- 가격이 14% 오를 때 수요는 26% 감소했다는 공식을 도출
- 비슷한 수학을 미국에 적용하면, 미국내 EV 판매도 비슷한 정도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것
- 7,500달러의 세액 공제 제도가 폐지될 경우 가장 큰 타격은 테슬라 보다는 주로 수입 브랜드 전기차에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까지 더해져
- 투자자들은 전기차 판매 여건 악화보다는 트럼프와 머스크의 긴밀한 관계에 주목하고 있으며, 자율 주행차 배치를 더 간단하게 만들어줄 연방 자율주행차 규정을 포함한 다른 혜택을 기대하고 있다는 분석까지 전해졌는데
하나씩 체크해 보면, 위와 같은 소재들은 모두 나왔던 것들이며, 이로 인해 뉴욕증시 EV 관련주가 하락을 했다지만, 실제 우리에게는 새로울 것 없는 것들입니다.
하지만, 주가는 어땠나요? 이핑계 저핑계가 더해지며 특히 낙폭이 컸던 안타까운 상황이죠.
결론적으로 2차전지는
1월 20일 트럼프 공식 취임 이후 전기차 의무화 및 IRA 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가 중요하며, 이로 인한 불확실성 제거가 될 수 있어(물론 새로운 불확실성 혹은 확정 악재가 나올 수 있을 수 있지만, 이미 상당부분 반영된 상황)
그리고 현재가 2025년이다보니 전년 동기 대비 즉 2024년 대비 이익 개선이 되느냐 마느냐 이것이 중요해요.
2차전지 섹터는 특히 실적 개선세가 중요한데요, 지난해 동기 대비 어떤 흐름이 나올지 전 분기 대비 어떤 흐름을 나타낼지 이런걸 보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실적이 예상치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될 수 있는데, 실제 얼마나 부합하는지 여부와 결론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전 분기 대비 추세가 나아지고 있는 것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위와 같은 내용들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