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삼성SDI가 1분기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예상된(?) 적자전환이었는데요, 적자폭은 예상보다 컸어요
그럼에도 오히려 기대감은 올라온다는 기사들이 많아요
왜 그런걸까요?
삼성SDI 예상대로 부진한 실적 발표
매출 3조1768억원, 영업손실 4341억원을 각각 기록
배터리 부문은 매출 2조98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9%, 전분기 대비 16.4% 감소하며 영업손실 4524억 기록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19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4% 감소, 전분기 대비 3.1% 증가하며 영업이익 183억원으로 기록
즉, 배터리 부문 부진에 따른 적자 전환으로 볼 수 있는 것
예상된 부진
전년 동기 흑자에서 올해 적자로 전환한 것인데, 이미 시장에서는 적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긴 했던 상황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당초 증권가 컨센서스는 매출 2조8,330억원, 영업손실 3,187억원
하지만, 실제 영업손실은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이른바 '어닝쇼크' 수준
구체적으로 왜?
삼성SDI는 현재 미국에 스텔란티스 합작공장 있고, GM과 공장 건설중이지만, 단독 공장이 현재 없다보니 AMPC가 현저히 적어
1분기 LG엔솔 4577억원, SK온 950억원 AMPC 보조금 추정되지만 삼성SDI는 거의 없다시피 한 상황
삼성SDI 유럽 OEM 업체들인 BMW, 아우디 재고 조정이 길어진 것도 영향
K-배터리 사용량 전반적 감소도 삼성SDI가 1-2월 22.2% 줄어든 것이 원인이었던 것
독일, 프랑스 중심으로 유럽 전기차 보조금 지급 중단된 상황이 길어지며 재고 조정이 길어졌지만 보조금 등 유럽 상황이 올해부터 나아지고 있어
중요한 것은
- 현재 적자는 뼈아팠지만, 향후 전망이 중요
현재 해당 업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분기 저점 확인
이에 대해 삼성SDI는 2분기 역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지만, 실적은 1분기를 저점으로 개선될 것이라 밝혀
그리고 얼마 전 인터배터리 2025에서 최주선 사장 역시 1분기 저점으로 2분기 점차 회복될 것이라 전망하기도
증권가 역시 1분기 유럽 전기차 재고 조정 마무리 된 뒤 출하량 증가에 따라 실적 개선을 점치고 있다는 내용 전해진 바 있어
주요 고객인 유럽 자동차 시장의 중심인 독일의 1분기 전기차 판매가 지난해보다 37% 증가하며 기대감 키우고 있는 요인
얼마 전 BMW 요청에 의해 4695 배터리를 국내 생산 고려한다는 소식도 전해드린 바 있는데 이것도 주목해 볼 필요 있는 내용
한 마디로
이번 분기 안좋을 것이라는 예상 했고, 예상대로 좋지 않은 실적 발표
주목하고 있던 것은 향후 전망인데,
향후 전망이 지속적으로 어둡다는 것 보다는 나아질 것을 예상하고 있는 기존의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
그것들을 뒷받침 해주는 요소들도 여러 가지 보이고 있다는 분석들(물론 변수는 존재하지만)
이에 당일 주가도 어닝쇼크에도 불구하고 크게 동요되지 않고 오히려 상승 전환하는 등의 모습이 나타난 것
결국 남은 실적 발표 및 가이던스 중요한데
오는 30일 LG엔솔 및 SK온 실적발표
LG엔솔은 이미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확정실적을 통해 향후 가이던스 제시할 듯
SK온의 실적도 시장의 우려보다는 선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SK온은 1분기 영업손실 규모가 2,800억원일 것으로 관측, 지난해 3,315억원 적자를 낸 것과 비교하면 수익성이 개선됐을 것으로 보고 있어
에코프로그룹 LG화학 엘앤에프 등 실적발표 남았지만
- 대전제는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이 자리에서 극심한 하락보다는
- 점진적 개선 등을 기대해 볼만한 여지가 커
- 확실한 한 방, 예컨대 태양광 섹터의 모습 등이 비춰질 시 분위기의 반전은 충분히 가능
- 시장은 확실히 가는 업종에 대한 확실한 투자로 자금이 모이는 추세기 때문에 불확실성의 해소가 죌때마다 분위기는 개선될 수 있다고 봐야
그리고 양극재 수출은 꾸준히 주목해야
실적이 예상보다 잘 나오는 것은 양극재 수출 증가세 뚜렷하기 때문
-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삼원계 양극재 수출액은 12억5363만달러
- 이는 지난해 4분기(11억9509만달러)와 비교해 4.9% 증가한 수치
- 월별로는 1월 3억6654만달러, 2월 4억2602만달러, 3월 4억6107만달러로 증가세
- 수출 중량 기준으로 보더라도 1월 1만5407톤, 2월 1만7630톤, 3월 1만9014톤으로 연속 상승세
- 1분기 수출 중량은 5만2051톤으로 지난해 4분기(4만7408톤) 대비 9.8% 늘어
- 보통 양극재 수출이 늘어난 뒤 배터리 수출도 늘어나게 되는 구조
- 해당 수출 증가가 관세 부과 전 일시적 선구매 효과인지, 중국 관세로 인한 반사이익인지 확인이 아직은 필요하지만 후자일 확률도 상당히 높아지고 있는 상황
에코프로그룹, LG화학 등 주목
- 29일 에코프로비엠, 30일 LG화학 에코프로 엘앤에프 SK이노 SKIET 등 실적발표 예정
'국내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깜짝 지원금 늘렸다, 갤S25 울트라가 23만원? (2) | 2025.04.29 |
---|---|
4월 29일 화요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금지 종목은? (1) | 2025.04.28 |
모건스탠리 또 끄집어낸 메모리 겨울론, 이번엔 빙산이라네요? (2) | 2025.04.28 |
4월 28일 월요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금지 종목은? (1) | 2025.04.27 |
포홀, 포스코퓨처엠 실적은 괜찮았는데이게 발목을 잡을 수 있겠어요 (1)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