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이달부터 대출받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금리는 내려가는 추세인데 왜 대출받기는 어려워지는걸까요
5월부터 까다로워진 대출 시장
- 이달에 대출받기가 더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우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SGI서울보증의 전세대출 보증 비율이 기존 100%에서 90%로 내려가는건데요
- 이게 당초 7월 시행 예정이었으나, 보증 비율이 과도하게 높아 무분별한 전세대출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와 두 달 앞당겼다고 합니다
- 전세대출 보증은 전세 임차인이 은행에서 전세자금 대출을 받을 때 SGI서울보증, HUG, HF 등 보증보험기관이 대출 상환을 보증하는 상품인데
- 은행이 별다른 담보 없이 전세대출을 내주는 근거거든요
- 기관이 보증하는 비율이 낮아지면 은행 입장에선 대출 심사를 더 강화할 수밖에 없어요
- 그동안은 임차인이 전세대출을 갚지 못하면 이들 기관이 100% 다 갚아줬지만, 이제는 90%만 되돌려 받을 수 있게 되면서 깐깐히 보는거죠
- 6월부터는 HUG가 전세금안심대출보증 심사 때 임차인의 상환 능력을 반영합니다
- 전세금안심대출보증은 임차인에게 전세보증금반환을, 금융기관에 전세자금대출의 원리금(원금+이자) 상환을 함께 책임지는 보증상품인데
- 이게 현재는 전세보증금의 80% 이내에서 수도권은 4억원, 비수도권은 3억 2000만원까지 보증이 가능했으나, 과도한 전세대출 방지를 위해 임차인의 상환 능력을 보증 한도 산정 기준에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7월에 스트레스dsr 3단계가 진행
- DSR이란 연 소득 중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쓰이는 비율로, 현재 은행 대출에 40% DSR 규제가 적용됩니다
- 여기에 일종의 가산 금리인 스트레스 금리를 더한 것이 스트레스 DSR인데, 3단계에서는 은행권과 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과 신용 대출, 기타 대출에 1.5% 금리가 더해집니다
- 7월 것들을 가지고 왜 벌써 호들갑이냐 할 수 있지만 그게 문제가 됩니다
- 7월 시행 전에 막차 타려고 수요 몰릴겁니다
- 그러면 가계대출 쏠림 현상이 발생하고 은행들은 그 핑계로 규제를 강화할 수 있다는거죠
- 그래서 제도 시행, 그리고 제도 시행을 앞두고 돈 빌리기가 더 까다로워 졌고, 앞으로 더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서 자금 융통 계획을 세우셔야 합니다.
'국내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0원 간다던 환율이 1200원 간다네요? 환율의 美친 변동성 이렇게 봅니다 (1) | 2025.05.07 |
---|---|
이래서 국장 하지 말란건가봐요, 그리고 체코원전 계약이 중지됐네요. (1) | 2025.05.07 |
5월 7일 수요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금지 종목은? (2) | 2025.05.06 |
우리 쉬는 사이에 뚝 떨어진 환율, 이거 좀 이상합니다 (1) | 2025.05.06 |
앞으로 해킹 피하려면 이것 꼭 해두시기 바랍니다 (2)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