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22 5

4월 23일 수요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금지 종목은?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지난 22일, 화요일 코스피는 소폭 하락 코스닥은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관세협상 경계감이 커지며 보합권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모습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이날은 공매도가 특히 늘어났습니다. 코스피 기준 1개, 코스닥 21개로 총 22개 종목이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어 23일(수) 하루 공매도 거래가 금지됩니다. 어떤 종목들인지 궁금하실텐데요 본 포스팅의 PDF 파일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 본 자료는 서정덕TV 정기 간행물입니다. 해당 자료는 개인투자자들에게 무료로 배포되고 있습니다. 단, 해당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포 및 재가공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국내증시 2025.04.22

현대차와 포스코 손 잡았다! 철강에서 2차전지까지, 이걸 주목해야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현대차 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손을 잡았습니다. 미국 관세 장벽을 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 한 때 앙숙이었던 이 둘이 손을 잡는 일이 발생한거죠 그렇다면 이번 협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이미 예고된 바 있는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동행 - 국내 1위 철강업체 포스코가 현대제철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건설할 예정인 전기로 제철소에 대해 지분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바 있어 - 포스코의 투자가 현실화하면 국내 1·2위 철강 업체가 나란히 관세 장벽을 돌파하기 위해 미국 현지에서 손을 맞잡는 '빅딜'로 업계 관심이 컸던 상황 - 이는 트럼프 2기가 이미 철강 제품에 25% 고율 관세를 매겨 미국 시장 진입 장벽을 높인 가운데, 수년째 중국발 공급 과잉..

국내증시 2025.04.22

외국인 국내증시 보유 비중 역대 최저수준, 어떻게 대응할까요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은 연일 매도만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외국인 매도세가 올해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외국인 비중도 상당히 줄어들었습니다. 이를 기회로 만들어 볼 순 없을까요?국내 증시 또 다시 답답한 흐름 - 국내 증시가 1, 2월 상승 후 3, 4월에 원상복귀 했습니다. 최근에는 다시 조금씩 반등하면서 그래도 미장 대비해서는 나은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는 정돕니다 - 그런데 이 장을 이끌고 있는 주체는 외국인이 아닙니다 - 외국인은 꾸준히 매도하면서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어요 - 21일 한국거래소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 코스비 보유 비중은 지난 18일 31.58%를 기록했는데요, 그 이전인 16일에는 31.53%까지 떨어지며 연..

국내증시 2025.04.22

유가 달러에 움직이는 이 기업들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투자를 위해서는 경기 흐름을 잘 알아야 한다고 하죠. 그런데 참 그게 쉽지 않고 귀찮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매크로를 알아야 하는 이유가 있어요. 오늘 내용을 보시면 이유를 단 번에 알 수 있을겁니다. 최근 유가와 달러 변동성에 업종별 희비도 엇갈려 최근에 국제유가가 하락하고 달러도 약세로 접어들면서 이에 따른 업종별 희비도 엇갈리고있어대표적으로 강달러 수혜주들이 약세를 보이는데 수출주 OEM 관련주 등이 꼽혀 반면국제유가 하락에 유가 하락 수혜주들이 슬쩍 미소짓고 있는 모습대표적 국제유가 하락 수혜주를 꼽자면? 유가 하락 대표 수혜주는 한국전력 얼마 전 한국전력 이야기를 드린 바 있었는데, 외국인들이 꾸준히 사고 있는 업종이고 1년에 서너번 정도는 언..

국내증시 2025.04.22

엔화 가치 7개월 만에 '최고치’, 엔캐리트레이드 우려는?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요즘 달러 약세, 그리고 주요국 통화 강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원화도 강세 흐름을 보이며 1420원대까지 내려왔죠. 그리고 엔화가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요 체크가 필요해 보입니다. 엔화 강세 이어지고 있어 전일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40.6엔 수준으로 장중 140엔대를 위협했습니다전 거래일 종가보다 1.2%가량 떨어진 것으로 140엔대도 무너질 수 있는 상황인건데요 엔화 가치가 달러당 140엔선을 기록한 것은 작년 9월 중순 이후 약 7개월 만입니다 올해 초 160엔대를 넘볼 정도로 올랐던 엔/달러 환율은 꾸준히 일본 금리 인상 기조 등에 하락하다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방위적인 관세정책을 발표한 이후 급락(엔화 가치 급등)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

글로벌증시 2025.04.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