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전력 5

유가와 환율을 보면 수익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제가 서정덕tv를 통해 항상 짚어 드리는 것이 당일 환율, 유가 흐름 등 거시경제 지표들의 흐름입니다. 매일매일 짚어 드리고 특이사항을 전해드리고 있는데요, 이것들이 투자의 기초가 되고 잘 파악하면 수익을 내거나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짚어 드린 내용을 잘 파악하셨다면 괜찮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었을텐데요 자세히 하나하나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유가와 환율을 꼭 확인해야 하는 이유 - 환율과 유가에 따라 기업들의 영업이익에 직접적 영향이 가게 되는 구조 - 그리고, 그에 따라 주가도 영향을 받게 되다보니 - 환율 상승시 / 하락시 수혜 피해주 유가 상승시 / 하락시 피해 수혜주를 알아두면 좋은 것 최근 유가는 4년래 최저치 - 유가 하락 피해주..

국내증시 2025.05.08

유가 달러에 움직이는 이 기업들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투자를 위해서는 경기 흐름을 잘 알아야 한다고 하죠. 그런데 참 그게 쉽지 않고 귀찮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매크로를 알아야 하는 이유가 있어요. 오늘 내용을 보시면 이유를 단 번에 알 수 있을겁니다. 최근 유가와 달러 변동성에 업종별 희비도 엇갈려 최근에 국제유가가 하락하고 달러도 약세로 접어들면서 이에 따른 업종별 희비도 엇갈리고있어대표적으로 강달러 수혜주들이 약세를 보이는데 수출주 OEM 관련주 등이 꼽혀 반면국제유가 하락에 유가 하락 수혜주들이 슬쩍 미소짓고 있는 모습대표적 국제유가 하락 수혜주를 꼽자면? 유가 하락 대표 수혜주는 한국전력 얼마 전 한국전력 이야기를 드린 바 있었는데, 외국인들이 꾸준히 사고 있는 업종이고 1년에 서너번 정도는 언..

국내증시 2025.04.22

9조 던진 외국인, 그래도 이건 담았다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공매도 재개하면 돌아온다던 외국인... 아아 그 외국인들은 아직도 돌아오지 않고 매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4월에만 9조원을 던지고 있는데요, 이 와중에 산 애들이 있다네요? 4월도 어려운 국내 증시 - 외국인의 매도가 이어지며 국내 증시가 4월 쉽지 않습니다. - 그냥 던지는게 아니라 공매도까지 집중되면서 지수 상승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지목할 수밖에 없는데요 주로 어떤 업종을 팔았냐면요 - 대체적으로 다 팔았더라고요 - 그리고 대형주 매도가 컸습니다. - 지난 일주일(4월 7~14일) 동안 외국인 투자자는 삼성전자(1조2102억원), SK하이닉스(9022억원), 현대차(3180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1953억원), 기아(1439억원) 등 코스피 주요 종목을 잇달아 매도한..

국내증시 2025.04.17

하락장에 주목맞는 한국전력, 갑자기 왜?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한국전력의 주가는 참... 어렵죠. 한국전력만 가지고 이야기를 하라고 하면 밤새 할 수 있을 정도로 사연 많은 기업이고 역사 깊고 안타깝고, 많은 개인투자자들의 아픔이 담겨 있는 종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한국전력이 드디어 오랜만에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왜 그런걸까요? 도로 2만원 초반까지 내려온 한국전력 - 최근 상승세를 보이다가 급락으로 다시 2만원 초반대로 내려온 한국전력- 경기 방어주로 꼽히지만, 딱히 방어적 모습을 보이지 못했던 요 근래 몇 년의 모습- 그런데, 최근에 매력도 다소간에 높아지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 하나씩 살펴보면  무엇보다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 한전은 작년 연결 기준으로 8조3489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4년 만에 흑자 전..

국내증시 2025.03.05

2% 금리 시대, 2년 4개월 만에 돌아왔다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75%로 0.25%p 전격 인하했습니다.  서정덕TV 채널을 통해 금통위에 전망에 대해 두어번 정도 전해 드린 바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예상’대로 금리 인하에 돌입했습니다.  미국은 금리를 내리지 못하지만 우리는 내릴 수 있었던 이유. 아니, 내려야만 했던 이유가 있는데요, 하나씩 정리해 보도록 할게요  전일 한국은행이 0.25% 금리 인하를 단행 - 저희 방송에서도 확률이 꽤 높다고 전망하고 있었고, 시장에서도 이미 예상하고 있었던 만큼 충격은 크지 않은 상황 속 향후 방향성에 주목하는 건데요 - 이번달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연 2%대 기준금리 시대가 열린 셈입니다  배경은?- 한은의 기준..

국내증시 2025.02.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