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자 각국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대응도 반응도 다른데 정리해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이에 대한 주요국들의 대응은 각기 달라
중국, 일본을 비롯해 EU 스위스 영국 등
모든 국가가 의견을 표한 것은 아니지만 대표적인 국가들의 대응 및 반응을 정리
중국은?
이른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전략
34% 추가 관세를 부과받은 중국 정부, 34%의 동일한 보복관세를 10일부터 미국 상품에 부과 방침
미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고 대미 수출 통제도 확대
이는 트럼프가 2일 상호관세 부과 대상이라고 발표한 57개국 중 첫 맞대응
미국과 중국의 양국 간 관세율은 상호관세와 그 이전에 부과한 관세를 합하면 대략 50%대의 초고율 관세가 형성된 셈
한 발 물러선 EU
중국만큼 관심 대상인 유럽연합(EU)은 강하게 반발하면서도 즉각적 대응은 자제하는 모습
20% 관세를 부과받은 유럽연합의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단호한 대응 밝혀
그러면서도 대화를 강조하며 일단 협상 의지 밝혀
27개 유럽연합 회원국들도 기조가 갈리는데
이탈리아는 무역전쟁 막자는 유화적 입장
프랑스는 무역전쟁 대비하고 있다고 강하게 맞서자는 입장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미국과의 문제가 명확해질 때까지 유럽 기업들의 대미 투자 유보를 주장
만일 이번 싸움에 유럽연합이 본격 가담한다면 세계 1~3위권 경제가 모두 관세 전쟁에 빠져 더 큰 파장이 불가피 한 상황
영국은 선방, 스위스는 어이 없다는 분위기
10%라는 ‘최저’ 관세율을 적용받은 영국
키어 스타머 총리가 자국 이익 보호를 위해 모든 것을 다하겠다 밝혔지만 내부적으로는 선방했다는 평가
스위스는 정 반대 분위기
31% 관세율을 맞은 스위스, ‘날벼락’이라는 반응
스위스는 대미 공산품 관세가 전무한 데다 미국보다 평균 관세율이 낮고, 특히 스위스는 최근 미국산 전투기를 대량 구매한 터라 유럽연합이나 영국보도다 더 높은 관세율이 부과된 데 당혹해 하고 있다고
중국 제외 아시아 대체적으로 저자세
46%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아 충격에 빠진 베트남도 보복보다는 관세율 낮추기에 집중하고 있는데 미국과 협정 맺을 수 있다면 관세 0으로 낮추겠다고 했다는 트럼프의 언급도 있어
일본도 보복 계획을 밝히지 않아
대한민국 역시 유감 표하면서도 대미 협상 적극 추진하고 맞대응 없다는 입장
'국내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1 사태때보다 더 심각하다. 국장도 블랙먼데이 현실화 될까 (0) | 2025.04.07 |
---|---|
환율로 허리 휘던 바이오 업계, 한 숨 돌리나 (0) | 2025.04.07 |
실적 좋다면서 외국인들 계속 팔고 있는 은행주 왜 그런걸까요 (0) | 2025.04.07 |
4월 7일 월요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금지 종목은? (0) | 2025.04.06 |
올해 역대급 무더위 예고? 이럴 땐 이런 투자 방향이 좋습니다 (1)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