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일본 엔화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국내 투자자들이 신경써야 할 부분들이 있거든요
정리해 보도록 할게요
엔고 현상의 지속
- 엔고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는 소식은 전해 드렸었어요
- 얼마 전에 엔고가 이어지며 우리나라 엔화 예금도 줄어들고 있고 투자도 줄어드는 가운데 일본 수출경기가 안좋아 질 수 있다 이런 이야기 한 적 있었는데요, 엔고가 더 심화되는 분위깁니다
- 특히 아시아 국가 중 일본 증시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환차익이라도 보고 나오려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매도세가 강한건데요
- 지난 1일 하루 새 일본 증시에서 빠져나간 자금은 1억8446만달러(한화 2696억원) 수준입니다
- ‘일학개미(국내 일본 주식 투자자)’는 2월 한 달 간 376만3049달러(약 345억원)를 팔아치운데 이어 지난 3월 한 달간은 1786만달러 사들이며 회복세를 보였지만 이달 다시 순매도를 하고 있는거죠
- 증시가 하락하기 때문에 빠져 나오는 것도 있을테고요, 환차익도 크게 못볼 수 있다는겁니다
일본이 특히 취약할 수 있다?
- 미국발 상호관세가 지속할 경우 일본은 다른 국가보다 더 깊은 경기침체를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보고서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 일본 주요 주식의 수익률이 급락했고, 전망도 부정적이다. 여기에 엔/달러 환율까지 고려하면 부정적인 관측되는 겁니다
- 특히 미국은 일본 자동차 수출의 최대 시장으로,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로 일본 국내총생산량(GDP)이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오거든요
엔고가 특히 장애물
- 관세뿐 아니라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인한 ‘엔고’도 일본 경제의 장애물로 꼽히고 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자 안전자산인 엔화 수요가 급등했는데 이게 자금 유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수출 경쟁력도 당연히 떨어지고 수입 원자재 비용에 대한 부담도 커지죠
- 엔화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고공행진 중인데요 지난주 주요국 통화 중 엔화 가치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날 외환시장에서 원/엔 환율은 100엔당 1005.09로 2023년 이후 최고치입니다
- 문제가 일본이 이런 식으로 가면서 금리 인상 기조가 강해지거나 자금 이탈이 빨라지면
- 엔캐리 이탈 이슈 또 나올 수 있고 그게 시장을 건드릴 수 있습니다.
- 일본쪽 자금 수요도 계속 체크해 드릴게요. 개인적으로도 관심 가족 곡 엔화 분위기라도 보시길 바랍니다
'국내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먼데이에 묻힌 LG엔솔 깜짝 실적, 어느정도 실적이었기에? (0) | 2025.04.08 |
---|---|
관세 우려에 엔터주가 다시 슬금슬금 (1) | 2025.04.08 |
4월 8일 화요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금지 종목은? (0) | 2025.04.08 |
9·11 사태때보다 더 심각하다. 국장도 블랙먼데이 현실화 될까 (0) | 2025.04.07 |
환율로 허리 휘던 바이오 업계, 한 숨 돌리나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