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최근에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감 이야기가 나옵니다.
당장 되는건 아니거든요? 절차가 있고 시간이 걸려요. 다만 기대감이 올라오는 부분에는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감이 요즘 솔솔 올라온다는데
- 6월 20일 새벽에는 MSCI 시장 접근성 평가 결과 발표된다고 하고
- 6월 25일 새벽에는 관찰대상국 지정 여부 발표됩니다
- MSCI는 전 세계 자금의 흐름을 좌우하는 대표 지수 제공 기관인데
- 한국은 2008년 관찰대상국에 올랐다가 2014년 탈락한 뒤 10년 가까이 편입 논의조차 되지 못한 상황 속 이번에는 기대감이 제법 있다고
왜 기대감이 커졌나?
- 요구사항에 대한 맞춤이 어느정도 됐다는 평가인데
- 코리아 디스카운트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 배당정책 개선 의지 외환시장 개방 영문 공시 확대 공매도 재개 등등
- 여기에 기업지배구조 개선 파생시장 규제 완화 등을 통한 시장 접근성 개선도 평가에 긍정적 요소라고
이거 되면 좋을까
- 외국인 자금 유입 확대가 되고
- 환율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 글로벌 펀드 편입 통한 수급 개선이 된다는데
- 가장 중요한 것은 패시브 자금
- 골드만삭스 전망으로는 한국이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될 경우 약 41조 원 규모의 패시브 자금 유입 기대된다고
실제로 조사를 대강 해보니
- MSCI 선진국지수에서 한국 비중은 약 1.5~2%로 추정되며
- 약 6~7조 달러(약 9,000조 원) 규모의 자금이 MSCI World를 추종 중
- 단순 계산시 120조 원 수준의 포지션 형성 가능하며
- 패시브 자금만 30~50조원 가량이 될 것
다만 편입까지는 단계가 존재
- 2024년 6월: 관찰대상국 등재
- 2025년 6월: 편입 확정 발표
- 2026년 5월: 실제 지수 반영
- 즉 시일이 제법 걸릴 수 있다는 것
단, 지수 편입 등에 대한 기대감이 생긴다면?
- 편입 직전 수개월간 편입 기대감으로 주가 선반영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 관찰 대상국만 등재 되더라도 일부 기대감은 올라올 확률도 있다는 분석들
- 그래서 이번 주 관찰대상국 등재 여부가 상당히 중요한 사안이 될 것
'국내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O로 치킨값 벌기, 이렇게 하는게 지금은 가장 현실적 (2) | 2025.06.23 |
---|---|
6월 23일 월요일 공매도 금지 종목, 그리고 특징 업종 (5) | 2025.06.22 |
에코프로비엠 흑자+이전상장 전망에도 여전히 바닥 부근 주가, 언제 반등할까 (1) | 2025.06.21 |
MSCI 8월 편출입 가능 종목 확인하세요 (2) | 2025.06.20 |
자동차株, 바닥 찍었나…외국인 매수세에 상승 가속페달 (1)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