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

금값 계속 오르니까 이제라도 투자하고 싶은데, 무섭습니다. 주의점 없나요?

seojdmorgan 2025. 2. 20. 08: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요즘 금, , 심지어 구리 이야기도 자주 하게 되는데요

주변에 모이면 보통 하는 이야기가 정해진 것 같아요.

 

얼마 전 식당에서 점심을 먹는데 옆 테이블에서는 한화그룹주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고, 한 쪽에서는 조선주에 대해 투자 의견을 주고 받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다수는 금을 샀어야 한다고 후회를 하며 껄무새가 되곤 하죠.

 

그러다보니 금, , 하다못해 구리라도 사고 싶은데 많이 올랐다고 하니 주의사항이라도 알고 가야 할 것 같잖아요?

 

그래서 오늘 금 은 등을 투자하기 전에 알아둬야 할 주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금값이 계속 올라요... 나만 없네 금

 

- 금값이 계속 오른다고 하니 너도 나도 금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금 투자를 하고자 하는 잠재 수요고 굉장히 큰 상황인데요, 이럴 때 주의사항은 최소한 알고 계셔야 할겁니다

 

어떤걸 주의해야 할까요

 

- 일단 올해 금 수익률이 얼마나 되기에 이렇게 사람들이 찾아오나 봤더니요

-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4일 종가 기준 KRX 금 현물 가격은 올해 들어 28% 가량 올랐습니다

- 같은 기간 8% 상승한 코스피를 비롯한 주요국 증시 상승폭을 압도하는 수익률이니 혹할만 하죠

- 이에 비해 글로벌 최대 금시장인 영국 런던금시장연합회(LBMA) 금 현물 가격은 9.83% 상승해 국내 금 현물 상승률과 상당한 격차거든요

 

왜 이런걸까요

 

- 지난해에도 우리나라와 런던시세가 많이 차이가 났는데 이건 환율에 의한 시세 차이였거든요

- 근데 올해는 환율차이로 인한 시세 차이로 보기는 어렵단거죠

- 거래 시장이 다르다는 이유로 상품 가격이 차이가 나는 것은 거품이 꼈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수급 불일치

 

- 금값 상승을 기대한 투자자들이 단기에 대거 금 실물을 사들인데 비해 공급이 받쳐주지 못하니 가격이 오른다는 건데요

- 특히 조폐공사가 지난 12일 골드바 생산을 중단하면서 수급은 한층 어려워 진 상황입니다

- 실물도 동나 버리는 상황에 금ETF를 대거 사드리고 있거든요

- 근데 문제가 현물 가격 괴리가 ETF 가격 괴리로 나오는겁니다

- KRX 금 현물을 추적하는 ACE KRX금현물 ETF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약 28%인데 비해 LBMA 금 현물을 추종하는 글로벌 최대 금 투자 관련 ETFSPDR Gold Shares(GLD)10%가량의 상승률을 기록중인데요

- 이것만 봐도 그대로 수급 불일치가 ETF에 적용되고 있는걸 알 수 있는거죠

 

문제는?

 

- 이로 인해 해당 ETF의 괴리율이 지난 52%가 넘는 등 크게 나타나고 있단 겁니다

- ETF 괴리율은 시장가격과 순자산가치(NAV) 차이로, 괴리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고평

- 이런 현상은 최근에 금을 못사고 은으로 돌아선 투자자들에 의해서도 나타납니다

- , 은 시장 역시 그대로 괴리가 나타나고 있는건데요 가장 큰 문제가 있습니다

- 국내 금 시세가 국제 금 시세보다 높게 형성돼 있는데다 괴리율까지 높으면 자칫 조정국면에서 손실 충격이 상당할 수 있는겁니다

- 이런 가격 격차를 만든 요인이 단기 수급이란 점에서 시장이 안정화되면 급격하게 거품이 빠질 수 있는 것도 주의사항으로 꼭 알고 계셔야 한단겁니다

- 당장 금 가격이 빠진다는게 아닙니다. 빠질 때 이런 요소가 더 큰 손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구조라는걸 알고 계시란거죠

- 업계에서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긴축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국제 금 가격의 인상 사이클은 유효하다고 합니다.

- 다만, 과도한 금 현물 가격 프리미엄에 의한 하락시 충격은 감안을 하자 이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