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2월도 이제 다음주만 지나면 끝납니다. 시간이 참 빠르다는 생각이 또 드네요.
어떤날은 시간 참 안간다 생각이 드는데... 그런날은 회사에 일찍 간 날이더라고요?ㅎㅎ
어쨌거나, 이제 다음주 화요일이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날, 금융통화위원회가 있는 날인데요
이날 금리를 어떻게 할 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내릴까요 동결할까요? 올릴리는 없으니 패스... 하나씩 정리해보죠
일주일도 남지 않은 금통위
- 금융통화위원회가 이제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 다음주 화요일 2월 25일에 진행되는데요, 이번에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있습니다
- 그렇다면 과연 금리 인하가 가능한 상황인지 시장에서는 어떻게 보는지 봐야 할텐데
- 개인적으로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보여집니다
- 그리고 시장에서도 비슷하게 바라보고 있는 모습인데요
근거는?
- 시장에서 금리 인하를 점치는 근거로는
- 한국은행은 지난 1월 금통위에서 환율 변동성을 근거로 금리를 동결하면서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을 예고하는 등 경기 하방 요인이 증대해 정책 지원이 필요한 상황임을 주장했었는데, 1월 금통위 이후 변동성이 상당히 줄어든 상황
- 그러다보니 현재 대한민국 자체 경기 하방을 막기 위해 초점을 맞추며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는 논리
금융당국의 사전조치?
- 아울러 이미 금융시장 전반적 둔화에 대해 당국이 예고를 사전에 한 상황이고
- 이에 따라 완화 정책을 이미 예고했다는 점에서 2월 금리 인하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고 이런 이유로 금리 인하 단행이 충분히 가능하단 겁니다
한은의 포지션은 어떨까
- 매파적 인하를 하지 않을까 싶은 것
- 현재 경기 상황이 여전히 좋지 못한 가운데 미국은 인플레이션 우려에 금리를 오히려 올려야 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상황
- 한미간 금리 역전 차이를 고려한다면 우리만 완화적 스탠스를 마냥 사용할 수 없어
- 그러다보니 금리 인하는 부득이하며 예고된 것임을 강조하면서도 향후 금리 인하에 대해서는 국내 경기 경로와 미국 금리 경로를 보며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신중론을 펼 수 있어보여
- 그래서 올해 최종 금리 하단을 2.5%에 맞출 것인지, 2.25%까지 바라볼 것인지 등도 봐야 할 것
- 결국은 매파적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까 예상
'국내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산 철강 공세에 대한민국, 결단 내렸다 (2) | 2025.02.21 |
---|---|
SK이노베이션 52주 신고가, 갑자기 왜이래요? (0) | 2025.02.21 |
2월 20일(목) 국내증시 마감 및 특징주 (1) | 2025.02.20 |
건설주는 정말 상승할 수 있을까? (1) | 2025.02.20 |
금값 계속 오르니까 이제라도 투자하고 싶은데, 무섭습니다. 주의점 없나요? (2)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