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

중국산 철강 공세에 대한민국, 결단 내렸다

seojdmorgan 2025. 2. 21. 08:4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정덕입니다. 

 

요즘 전 세계가 관세로 시끌시끌합니다. 관세로 인해 산업 금융 등 전 분야가 영향권에 들어간 모습인데요 

이 가운데 철강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철강업계 관세 소식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부가 그동안 저가 물량 공세를 펴온 중국산 후판에 칼을 빼들었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20일 회의를 열어 국내로 들어오는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수출 기업별로 27.91~38.02%의 잠정 덤핑방지 관세를 부과하는 안을 심의·의결한건데요

잠정 관세는 기획재정부의 검토를 거쳐 한 달 내로 확정해 중국산에 즉각 부과하는 구조입니다

 

이번 조치는 왜 내려진걸까요

현대제철이 지난해 7월 반덤핑 제소를 했고

그해 10월부터 넉 달간 진행한 예비조사 끝에 내린 예비판정 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통상 본조사까지 마친 뒤 덤핑률을 결정하지만 큰 피해가 예상될 때는 예비판정 형태로 관세를 바로 물릴 수 있거든요

중국산 저가 철강 공세는 국내 철강산업을 무너뜨리고 있었어요

여기에 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값싼 중국산 철강이 미국을 제외한 나라에 저가 공세를 강화할 것이고 이에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어려움은 다방면으로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된 것에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두께 6mm의 철강재를 후판이라고 하거든요. 여기에 27.91~38.02%의 고율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는겁니다

 

업계 반응은 어떨까요

철강업계는 반기고 있는게 당연하죠. 지난해 국내에 수입된 중국산 후판은 모두 117t. 2016(144t) 8년 만의 최대치입니다

지난해 국내에서 쓰인 후판 700t16.8%가 중국산이었고요. 이유는 품질 큰 차이 없는데 가격이 훨씬 싸요.

중국산은 톤단 78.5만원이고 국산은 90만원이니 12.7% 저렴해요.

이걸 조선 건설업체들이 주로 이용하는거죠. 근데 여기에 관세가 고율로 붙으면 국산 제품보다 중국산 제품이 10% 이상 비싸지는 가격 역전이 나옵니다

 

그러면?

국산 제품을 쓸 수밖에 없으니 국내 철강업계는 호재인겁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후판 가격이 t1만원만 올라도 업체 영업이익이 수백억원씩 늘어난다고 밝힐 정돕니다

반면 조선, 건설업계는 싸게 쓰던 것들을 비싸게 써야 하니 수익성이 떨어질 수 있겠죠

조선은 수입 원자재로 제품을 만들어 수출하면 관세를 물리지 않는 보세공장 제도가 있기 때문에 당장 큰 피해가 아닐 수 있다고 하는데

건설은 원가율에서 피해가 불가피 하다는 분석도 있어요.

참고로 국내 후판 수요는 조선사 70%, 건설사 30%로 나뉩니다.

반응형